자만한 나라에 닥친 불운, 한번으로 끝나지 않았다
조선비즈 박종규 선임연구위원 입력 2012.10.15 03:15
일본의 장기 불황은 불운이 겹친 탓도 있었다. 1990년∼1995년의 급격한 엔고(高)와 1997년 말의 아시아 외환위기, 2001년 글로벌 IT버블 붕괴에 따른 세계적 경기침체가 이어지면서 10년이 흘렀다.
일본이 불황 국면에 미온적이었던 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었다. 일본 경제는 플라자 합의의 엔고 충격을 내수 부양으로 이겨내며 꺾일 줄 모르는 성장세를 이어갔고 제조업 기술력은 세계를 선도했다. 일본식 경영은 세계 기업의 모범이었고 해외 금융회사들은 도쿄로 몰려오고 있었다. 1995년 일본의 1인당 GDP는 미국보다 50%나 높은 수준에 도달해 경제주체들은 자신감에 차 있었다.
버블이 붕괴되고 불황이 시작되었지만 10년이나 계속될 줄은 몰랐었다. 금리를 제로 수준으로 낮추고 재정을 최대한 확대해도 경기가 살아나지 못한다는 사실을 확인한 1997년 말, 즉 잃어버린 10년이 3분의 2나 흐른 뒤에야 비로소 일본 국민들과 정책 당국자들은 문제의 심각성을 깨달았다.
일본의 경험은 문제를 눈앞에 보면서도 정면 해결보다 주변 여건이 개선되기를 기다리는 것은 현명하지 않다는 교훈을 주고 있다. 불운이 연속될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으며, 문제 해결을 미룰수록 그것은 점점 더 무거운 짐으로 다가오기 때문이다.
----------
일본이 불황 국면에 미온적이었던 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었다. 일본 경제는 플라자 합의의 엔고 충격을 내수 부양으로 이겨내며 꺾일 줄 모르는 성장세를 이어갔고 제조업 기술력은 세계를 선도했다. 일본식 경영은 세계 기업의 모범이었고 해외 금융회사들은 도쿄로 몰려오고 있었다. 1995년 일본의 1인당 GDP는 미국보다 50%나 높은 수준에 도달해 경제주체들은 자신감에 차 있었다.
일본의 경험은 문제를 눈앞에 보면서도 정면 해결보다 주변 여건이 개선되기를 기다리는 것은 현명하지 않다는 교훈을 주고 있다. 불운이 연속될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으며, 문제 해결을 미룰수록 그것은 점점 더 무거운 짐으로 다가오기 때문이다.
----------
일본 재정 망친 사무라이 포퓰리즘
인기 영합해 세율 인하… 재정 건전화는 뒷전으로 조선비즈 박종규 선임연구위원 입력 2012.10.15 03:16일본의 장기 불황이 시작되던 1991년, 일본의 GDP(국내총생산)에서 차지하는 정부부채 비율은 66.5%로 상당히 건전한 수준이었다. 재정 적자도 GDP의 0.9%밖에 안 됐다. 따라서 장기 불황 초기에 경기 회복을 위해 재정을 확대한 것은 무리한 선택이 아니었다. 그런데 재정 적자가 GDP의 5%를 넘기기 시작한 1994년 이후에도, 한두 차례의 재정 건전화 시도를 제외하면 대규모 재정지출과 감세(減稅)는 계속됐다. 그 결과 불과 10년 사이에 일본 재정은 세계 최악의 수준으로 추락했다.
일본은 재정 건전화와 경기 회복 중 양자택일을 해야 할 때마다 항상 경기 회복을 택했다. '경기만 정상화되면 세수가 늘어나 자연스럽게 적자를 메울 수 있다'고 봤기 때문이었다. 힘든 일은 피하고 쉬운 일만 하려 했던 것이다. 저항이 없는 세율 인하는 거듭됐지만, 고통분담을 요구하는 세원(稅源) 확대는 소홀히 했다. 인기영합적인 정책을 지속한 결과 일본의 재정은 엉망이 되었고 그 부담은 미래세대에게 떠넘겨졌다.
우리도 고령사회(65세 인구 비율이 14% 이상) 진입이 6년밖에 남지 않았다. 인구가 고령화되면 세수가 늘어나기 어려워진다. 이런 상황인데도 국내에서 복지 요구는 날로 거세지고 있다. 계속된 글로벌 경기침체로 우리 경제는 일본식 장기 불황을 염려해야 하는 형편에 놓여 있는데도 말이다.
지금 같은 상황에선 재정정책 방향도 '최악의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소위 미니맥스(Minimax) 전략이 바람직하다. 경기 회복을 기대하며 막대한 재정 확대를 했다가 경기 회복이 안 되어 재정만 망가지는 상황은 피해야 한다는 것이다. 경기가 역동성을 상실했을 때 '경기만 회복되면…'이란 기대감만 갖고서 대규모로 적자를 늘리는 정책은 조심해야 한다
일본은 재정 건전화와 경기 회복 중 양자택일을 해야 할 때마다 항상 경기 회복을 택했다. '경기만 정상화되면 세수가 늘어나 자연스럽게 적자를 메울 수 있다'고 봤기 때문이었다. 힘든 일은 피하고 쉬운 일만 하려 했던 것이다. 저항이 없는 세율 인하는 거듭됐지만, 고통분담을 요구하는 세원(稅源) 확대는 소홀히 했다. 인기영합적인 정책을 지속한 결과 일본의 재정은 엉망이 되었고 그 부담은 미래세대에게 떠넘겨졌다.
우리도 고령사회(65세 인구 비율이 14% 이상) 진입이 6년밖에 남지 않았다. 인구가 고령화되면 세수가 늘어나기 어려워진다. 이런 상황인데도 국내에서 복지 요구는 날로 거세지고 있다. 계속된 글로벌 경기침체로 우리 경제는 일본식 장기 불황을 염려해야 하는 형편에 놓여 있는데도 말이다.
지금 같은 상황에선 재정정책 방향도 '최악의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소위 미니맥스(Minimax) 전략이 바람직하다. 경기 회복을 기대하며 막대한 재정 확대를 했다가 경기 회복이 안 되어 재정만 망가지는 상황은 피해야 한다는 것이다. 경기가 역동성을 상실했을 때 '경기만 회복되면…'이란 기대감만 갖고서 대규모로 적자를 늘리는 정책은 조심해야 한다
--------
섬뜩하게 닮아간다… 日 장기불황 뒤따르는 한국
닮아서 걱정 - 거품빠진 부동산·인구·투자 일본 불황 초기 모습과 흡사 안닮아서 더 걱정 - 개인 순저축률 16%였던 日도 장기불황 닥치니 휘청했는데 순저축률 2.7%인 한국은 침체기 어떻게 견뎌낼지… 한국 어떻게 해야하나 - 돈 써야 할 기업들은 저축하고 저축 할 가계는 빚내는 악순환 中企·가계까지 돈이 돌게해야 조선비즈 박종규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입력 2012.10.15 03:16 수정 2012.10.15 09:29'주식일반 > 경제관련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난 30년 동안 주식이 가장 높은 투자수익률을 기록한 (0) | 2013.01.03 |
---|---|
2013 한국·세계경제 대전망 (0) | 2012.12.02 |
25년전 '블랙먼데이' 같은 주가폭락 온다" 2012.10.18 (0) | 2012.10.19 |
주요 5개국 중앙銀이 푼 돈, 시중銀서 잠잔다 (0) | 2012.09.19 |
韓 생산인구·투자 부족…성장동력 약해진다> (0) | 2012.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