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시장 과열…위험도 상승 ‘경고등’ |
국내 금융 시스템 ‘위기 무방비’… 변동성 적은 자산으로 포트폴리오 조정 바람직 |
만약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 담보대출), 자산담보부증권(CDO), 자산유동화증권(ABS), 주택저당증권(MBS), 크레디트디폴트스와프(CDS) 등과 같은 용어들에 고개를 끄떡인다면 당신은 지금 문제가 되고 있는 미국발 금융 위기의 일부를 이해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만약 이 용어들의 개념이나 구조를 정확히 이해하고 있지 못하다면, 게다가 끔찍하게도 지금 은행이나 증권사에서 파는 주가연계증권(ELS) 같은 금융 상품에 투자하고 있다면 당신은 지금 자신이 딛고 서 있는 황금의 땅이 발목지뢰가 뒤덮인 비무장지대보다 위험한 곳이라는 사실을 모르고 있는 것이다.
지금 우리가 숨죽여 지켜보고 있는 미국 시장은 이런 첨단 금융 용어를 동원해야 겨우 이해될 수 있다. 먼저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정도는 이제 고등학생들의 논술 과제로 삼을 만큼 일반적인 상식이다. 하지만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가 단순히 돈을 빌려준 금융사와 돈을 빌린 부동산 담보대출자만의 문제가 아닌 전 세계적 불안 요인으로 꼽히는 이유를 이해하려면 약간 복잡한 공부가 필요하다.
폭주하는 잉여 유동성
이 문제는 요약하자면 이렇다. 대출기관이 담보대출을 시행하면 그 담보대출은 위험자산(이자는 많지만 채권 회수가 안 될 가능성이 큰 자산)일 수도 있고, 안전자산(이자는 낮지만 대출 회수에 문제가 없는 자산)일 수도 있다. 물론 그 중간 정도에 위치하는 자산도 있을 것이다. 이때 금융회사는 자신이 빌려준 자산 중에 일부 불안한 자산들을 다른 사람에게 되팔고 싶은 유혹을 느낄 것이다. 누군가 그것을 약간의 프리미엄을 주고 되산다면 금융회사 입장에서는 그야말로 금상첨화일 것이다.
하지만 위험자산만을 거래하기에는 파는 쪽이나 사는 쪽 모두 걸리는 점이 있으니, 결국 금융회사는 자신이 보유한 대출채권 중에서 안전한 자산과 약간 위험한 자산, 그리고 아주 위험한 자산을 섞어서 팔고, 사는 쪽에서는 섞어서 산다. 그리고 이 대출채권을 산 사람은 다시 이 중에서 위험해 보이는 자산에 대해 보험에 가입한다. 채권이 부도가 날 경우를 대비한 것이다.
보험에는 비용이 든다. 얼마 남지 않는 이익을 보험료로 내야 하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매입자들은 비용을 내고 보험에 들고 싶은 사람들과 비용이 아까워 보험에 들지 않는 사람으로 나뉘게 될 것이다. 만약 이 채권이 부도가 나면 어떻게 될까. 먼저 보험에 들지 않은 채권 인수자는 파산할 것이고, 보험에 든 채권 인수자는 문제가 없지만 반대로 이 채권에 대해 보험을 들어 준 보험자는 엄청난 보험을 물어주느라 큰 손해를 보거나 부도가 날 것이다.
이런 식으로 한 개의 금융 상품이 실제로는 3, 4, 5개로 계속 확장된다면, 더구나 이 상품이 서로 꼬리에 꼬리를 물어 나중에는 대출채권보다 보험료(크레디트 디폴트 스와프) 시장이 더 큰 상황이 된다면 그 결과는 생각만 해도 끔찍하다. 왜냐하면 실제 실물 금융시장에서의 위험보다 2차 3차 위험이 더 커지기 때문이다. 이것이 바로 지금 미국발 금융 위기라 불리는 서브프라임 사태의 본질이다.
하지만 이렇게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의 파장이 고구마 줄기처럼 줄줄이 엮여서 완전히 드러나지 않고 있다는 사실 그 자체는 어쩌면 위기가 아니다. 진짜 위기는 이러한 상황이 가능하게 된 체제, 즉 시스템이다.
프랭크 파트노이(Frank Partnoy)는 ‘전염성 탐욕(Infectious Greed)’이라는 책에서 현재 우리가 만들어 둔 금융 시스템은 완벽하지 않으며 오히려 더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고 신랄한 비판을 가하고 있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세계는 생산성 향상이라는 우산 속에서 너무 오랫동안 저금리 기조를 유지했고, 그 결과 잉여 유동성이 거의 폭발하기 일보 직전까지 부풀었다는 것이다.
돈이 지나치게 넘쳐나도 막상 돈으로 살 수 있는 물건, 즉 투자 대상이 제한적이다 보니 결국 돈은 투자 대상을 찾지 못해 기존 대상에는 거품을 만들고, 그것도 모자라 지속적으로 투자 대상을 만들어내는 시도를 지속한다는 것이다. 결국 잉여 유동성은 원래 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고안된 파생 시장에서 투자의 기회를 발견했다. 엄격하게 관리 가능한 현물 시장에 비해 2차 3차 파생상품이 만들어지면 시장 거래 시스템에 감시가 가능하던 시장이 시장 통제 시스템을 벗어나고 파생상품의 특성상 그 가치는 실제 자산에 비해 불가사리처럼 무한 증식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결국 돈이 돈을 부르는 탐욕이 되고, 이 탐욕이 지배하는 시장에서는 단지 돈을 더 버는 것만이 절대의 진리가 되고 만다.
그 결과 기업의 최고경영자(CEO)는 스톡옵션을 고가에 행사하기 위해 회계 부정이나 부정직한 부실 처리에 대한 유혹을 받고, 파생상품 운용자는 천문학적인 운용 수익을 노리고 점점 위험한 파생 거래에 빠져 들게 된다. 그래서 처음에는 1mm의 틈이 나중에는 100m가 되듯 최초의 작은 부정이 거대한 금융 부정의 씨앗이 되기도 하며 작은 거래가 거대한 거래로, 작은 오류가 전체 시스템을 붕괴시키는 큰 오류로 확장되는 것이다.
결국 자본은 자본의 이익만 취하는 구조로 내달리게 되며 그 결과 시장은 거대한 위험에 맞닥뜨리게 되는데 우리는 이 위험을 얼마나 잘 알고 거기에 대비하고 있는가를 프랭크 파트노이는 묻고 있다.
기대감 낮추고 위기감 높여야
이쯤에서 우리도 지금쯤 시장을 한번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는 자본시장통합법(자통법)을 앞두고 각 금융 주체들이 일부는 살아남기 위해, 일부는 기회를 잡기 위해 너도나도 앞만 보고 달리고 있다. 창업투자회사들은 벤처창업투자 시장이 자통법 통과 이후 대형 증권사들의 투자은행(IB) 파트에 잠식당할 것을 두려워하여 거대 사모 펀드를 만들어 자신의 능력은 고려하지 않은 채 연구개발(R&D) 시장에 뛰어들고, 자산 운용사들은 그중의 절반이 불법 행위로 금융 당국의 조치를 받을 만큼 자본의 윤리에 둔감해져 있으며, 모 금융사가 출시한 펀드는 그 위험성보다는 가능성에만 초점이 맞춰지면서 불과 1주일 사이에 1조 원이 넘는 시중 자금을 빨아들였다. 과연 우리나라의 금융 시스템은 이런 부분들에서 만들어질 수 있는 모든 부적절한 위험 요인을 통제할 수 있을까.
투자자들 역시 마찬가지다. 중국 주식시장이 과열되면 적정한 이익을 실현하기보다는 오히려 수천억 원의 자금이 추가로 몰려들고, 합리적인 과열 경고에 대해서는 모두가 눈을 감아버린다. 은행 창구에서 ELS를 판매하는 판매원들은 원금 보장을 부르짖고 손실을 본 투자자들은 어디에 하소연할지 몰라 하늘만 쳐다본다. 이쯤 되면 우리 시장도 전염성 탐욕의 바이러스에 감염돼 있다는 진단이 그리 큰 오진은 아닐 것이다.
사실 금융시장에서 가장 위험한 것은 이런 탐욕의 전염이다. 다행스럽게도 프랭크 파트노이가 말한 ‘탐욕 바이러스’는 다행인지 불행인지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크게 위세를 떨치고 있지 않지만 우리도 그에 대한 대비를 소홀히 하면 그리 머지않아 ‘탐욕 바이러스’가 증식할 수 있는 여건이 충분히 갖춰진 셈이다.
이제 좀 실질적인 부분으로 들어가 보자. 이렇게 세계 자산시장에 거품이 끼고, 우리와 밀접한 중국 경기가 과열 양상을 보이는 시점에서 우리는 우리가 거래하는 모든 금융상품과 거래 구조에 어떤 대비를 하고 있는가에 대한 기초적인 질문이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 금융 시스템은 이런 상황에서 그야말로 무방비 상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대개 시장이 호황을 보이면 사람들은 위험보다는 기대에 가중치를 부여하고 위험 요소를 무시하는 성향을 보인다.
하지만 진정한 투자자는 이렇게 모두가 기대에 가중치를 둘 때 위험 요인을 검토하고 그에 대한 대비를 하는 사람이다. 그 점에서 투자자가 검토할 것이 무엇인가는 이미 정해져 있다. 기대 쪽으로 기울어진 가중치를 조금 덜어내서 위험 쪽으로 옮기는 것이다. 즉, 당신의 자산이 지나치게 변동성이 큰 자산에 치우쳐 있다면 이제 일정 부분 리밸런싱이 필요하다. 그리고 폭탄이 터지기 직전에 탈출하겠다는 안일한 생각보다는 폭탄 주변에서 한발 물러서는 지혜를 발휘하라. 기회는 살아남은 자에게만 주어지는 선물이다.
-------------------------------------------------------------------------------------------------------
‘시골의사’ 박경철
현직 외과의사이자 국내 최고의 투자전문가로 꼽힌다. 본명보다 ‘시골의사’란 필명으로 유명하다. 투자 분석으로 영리 활동을 하지 않는 거의 유일한 전문가다. 명쾌한 논리와 유려한 문장으로 많은 팬을 확보하고 있다.
'주식일반 > 박경철(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옥수수 가격과 주가의 향방 (0) | 2008.04.15 |
---|---|
- 주가매출액비율(PSR)의 활용 (0) | 2008.04.15 |
… 실체 없는 성장성 ‘모래탑’ (0) | 2007.11.11 |
주식 (0) | 2007.11.08 |
자산 시장 ‘먹구름’…천둥·번개 피해야 - (0) | 2007.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