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도 머지않아 닥칠 미래"…日 '부의 회춘' 비책 뭐길래 [정영효의 일본산업 분석]
정영효 기자기자 스크랩
입력2022.12.28 07:11 수정2022.12.28 09:20
일본 자산시장의 그늘⑥·끝
"육아세대 소득 44% 늘리겠다"는 일본…어떻게?
'부의 유출·고령화' 막을 日 비책, '부의 회춘'
"고령 자산가의 자산을 육아세대로 이전하라"
리스크 떠안겠다는 젊은세대 자금부족 해소
생전증여 확대·육아세대 소득 44% 늘리기 추진
타워맨션 절세·1억엔의 벽 등 '부의 이전'도
경제부흥 고육책…한국에 '머지않은 미래' 일수도
"육아세대 소득 44% 늘리겠다"는 일본…어떻게?
'부의 유출·고령화' 막을 日 비책, '부의 회춘'
"고령 자산가의 자산을 육아세대로 이전하라"
리스크 떠안겠다는 젊은세대 자금부족 해소
생전증여 확대·육아세대 소득 44% 늘리기 추진
타워맨션 절세·1억엔의 벽 등 '부의 이전'도
경제부흥 고육책…한국에 '머지않은 미래' 일수도



일본인의 급여가 30년간 오르지 않은 것은 급여가 상대적으로 낮은 비정규직 근로자가 크게 늘면서 평균치가 제자리걸음을 한데 따른 일종의 착시현상이다. 대기업 관리자급과 고령자층의 급여와 소득 수준은 한국보다 높은 편이다.


광고

상속세와 증여세를 한꺼번에 얻어맞지 않고 미리 조금씩 재산을 물려주려면 적어도 죽기 7년 전에는 증여를 완료해야 한다는 얘기다. 자신이 죽을 날을 미리 아는 사람은 없으니 실제로는 고령의 자산가들이 훨씬 더 일찌감치 증여를 시작할 것으로 일본 정부는 기대하고 있다. 기왕 물려줄 재산, 자녀들이 한창 돈 필요할 때 미리미리 물려주라는 뜻이다.




2013년 준공한 도쿄도의 43층짜리 타워맨션의 23층, 67㎡ 아파트 한 채의 시가는 1억1900만엔이다. 그런데 상속세를 부과할 때 기준으로 삼는 평가금액은 3720만엔에 불과하다. 과세대상 재산을 8000만엔 이상 줄일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금융소득과세를 개선해 '1억엔의 벽'을 부수는 작업도 밀어붙이고 나섰다. 일본 정부는 연 소득이 30억엔이 넘는 초부유층을 대상으로 3억3000만엔을 공제한 금액에 대해 22.5%의 세율을 적용할 방침이다.

반면 주식의 매각차익이나 배당에 붙는 금융소득의 세율은 일률적으로 20%(소득세15%+주민세 5%)이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1년에 10억원 이상을 버는 사람들 정도면 급여보다 금융소득의 비중이 더 크기 때문이다.

이로부터 1년 만에 소득이 30억엔이 넘는 초부유층을 대상으로 범위를 좁혀 세금을 더 떼기로 했다. 200~300명 정도가 적용대상이 될 전망이다.
일본은 상속세와 증여세 최고 세율이 55%로 매우 높은 나라다. 덕분에 주요국 가운데 빈부격차가 가장 덜하다. 그런 일본이 부의 이전과 부의 회춘에 이처럼 공을 들이는 건 멈춰버린 성장 엔진을 어떻게든 다시 돌리기 위해서다.
도쿄=정영효 특파원 hugh@hankyung.com
https://www.hankyung.com/international/article/202212285011i
'일상생활관련 > 신문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영효의 일본산업 분석 (0) | 2022.12.28 |
---|---|
정영효의 일본산업 분석 5 (0) | 2022.12.28 |
정영효의 일본산업 분석3 (0) | 2022.12.28 |
정영효의 일본산업 분석2 (0) | 2022.12.28 |
정영효의 일본산업 분석 (0) | 2022.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