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의 증시에 대한 엘리어트파동 분석 및 예측 - 월봉챠트 |
'06.01.19 08:54 조회: 19146 스크랩: 28 |
|

2003년 6월의 예측치이나 현재에도 그대로 적용되므로 다시 올렸습니다. |
|
2003년 6월의 예측치이나 현재에도 그대로 적용되므로 다시 올렸습니다. 못읽으신 분을 위해서, 혹은 읽으셨으나 잊어버린 분들을 위해 그대로 다시 올렸습니다.
상승3파의 상승이 중간 중간 조정을 받고 있으나 계속 이어지고 있고 주도종목도 여전히 이어질 것입니다. 다시 한번 상기하시기 바랍니다. ---------------------------------------------------------------------
본 추정치는
필자가 2003년6월3일 한국 증권업협회의 서울 한국증권연수원에서 충북대학생을 대상으로 우리나라 증권시장의 시황과 향후 진행방향에 대한 기술적 분석기법의 한 기법으로 강의한 내용임
그 당시 계산한 파동상의 큰 틀은 현재까지 커다란 변동은 없이 진행되고 있어 그대로 사용합니다.
엘리어트파동을 활용한 우리나라의 향후 증시 전망
상승 1파 277.4 (1998.6.16) - 1052.6 (1999.07.12) 실적수치
상승 2파 1052.6(1999.07.12) - 463.5 (2001.09.21) 실적수치
상승 3파 463.5 (2001.09.21) - 1717.8 (예상수치)
상승 4파 1717.8 - 1238.6 (예상수치)
상승 5파 1238.6 - 2013.8 (예상수치 )
( 계산근거 및 상승주도종목 )
* 상승 2파는 상승1파의 76.0%조정을 받은 것으로 나타나 크게 조정받음
* 상승 3파는 상승 1파의 상승치인 775.2 에 1.618배를 하여 1254.3 를 구함. 463.5 + 1254.3 = 1717.8
* 상승 4파는 상승2파가 76.0% 조정을 받았으므로 파동변화의 원칙에 의거 0.382배의 조정을 조정을 받을 것으로 추정 1254.3 * 0.382 = 476.6 1717.8 - 476.6 = 1238.6
* 상승5파는 파동균둥의 원칙에 따라 상승1파와 동일한 상승으로 계산 1238.6 + 775.2 = 2013.8
** 2003.6월 초 현재 엘리어트 파동
상승 3파의 1파와 2파가 진행되고 3파의 3파가 진행되고 있음. 일단 강한 저항선이라 예상되는 상승추세선대인 850선까지 상승할 것으로 추정하고 조정받은후 본격적인 상승을 하여 1700선까지 상승하는 것으로 추정함. 단 850선대를 돌파하기전 추가적인 조정파동이 예상되어 직전고점인 1천선대를 돌파하는 데에는 본격적인 경기상승이 있어야 함.
** 중요 주도종목은
우라가미 구니오의 주식장세에 따라 이제까지 장세를 주도하였던 비제조주(건설, 금융, 무역주,서비스업)보다는 제조업이 상승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하였고 삼성전자를 비롯한 수출관련주들의 강세가 예상된다고 설명함.
** 상승의 중요 변수는
1) 원화의 강세 현상이 나타나고 즉 적어도 환율의 상승은 멈춘 상태에 2) 국제수지는 흑자가 계속 이어지면서 3) 금리는 하락세가 멈추고 시장경기의 상승에 따라 소폭의 수준씩 상승할 때 본격적인 상승이 예상된다고 설명함.
|
|
[유명한 경제연구소 소장 약력]
前 유명한 경제연구소 소장
現 이레경제연구소 소장
급락이 나타나는 현재 증시의 엘리어트파동 상의 현주소는 어디일까
현재의 위치는 대세 상승 상승3파의 강한 충격파가 나타나는 구간이다. 그렇기 때문에 상승 시에 나타난 충격적인 급상승 때문에 조정을 받을 때도 상승피로감에 따른 급락이 나타나는 것이다.
결국 강한 충격파가 나타나는 상승에 따른 가파른 추세선을 정상적인 추세선으로 원위치 시켜주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주가의 급등은 급락을 부르며, 급락은 다시 급등을 부르기 때문에 추세선의 조정이 이루어지고 나면 다시 정상적인 상승을 보여줄 것이다. 위아래 꼬리가 달린 일봉챠트가 형성되며 다시 추세적인 상승세를 보여줄 것이리라/
현재 3파의 상승을 하고 있는 증시는 1,426.21선을 기록한 후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급락이 나타났다. 일본 증시의 일시적인 혼란은 우리 증시가 조정을 받아야 할 시기와 맞아 떨어져 울고 싶은데 뺨을 때린 격이 되고 말아 오히려 좋은 기회가 다시 주어졌다.
1차 급락으로 1333.75까지 92.46포인트가 떨어져 이틀만에 6.5%가 하락하고 기술적인 반등을 보여주었으나 이동평균선에의 되돌림현상이었을 뿐이었고, 장중에서 다시 급락이 나타나며 직전저점 1333.75를 하회하여 3개의 파동을 형성하여 일단 반등할 조건을 갖추었다. 급락이 나타나 조정기간이 짧아지고 있어 우량주들의 입장에는 오히려 좋은 소식이다.
플랫형 조정파 (W자 형성)
이번의 조정파는 대세상승 상승3파의 연장파로서 3-3-4파가 형성되는 것으로 볼 수 있어, 3-3-2파가 지그재그형으로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어 3-3-4파는 플랫형으로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므로 이번 4파의 조정파는 일단 플랫형의 파동 구성을 보여주는 3개(3-3-5) 의 파동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3-3-2파가 53%의 하락을 보여주었으므로 3-3-4파는 38.2% 하락보다는 적을 것으로 예상되어 추가하락이 나타나면 1285-1300선 범위에서 지지대가 형성될 것으로 예상된다.
오늘까지 플랫형 a파의 1과 2가 형성되었고 장막판 직전저점을 하회하여 3파마저 형성되어 월요일 오전 추가 하락후 a파의 파동이 1285-1300선을 중심으로 형성되고 나면, 장중 기술적인 반등이 나타나며 플랫형의 b파가 형성될 것으로 예상된다.
b파는 강하면 1400선까지 약하면 1350선대 전후까지 반등 후, 재하락하여 3개의 파동을 형성하여야, 플랫형의 c파가 나타나며 다시 하락하여 1300선 근방까지 접근후 3-3-5파를 형성하며 1580-1710선까지 반등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간은 이미 1파는 4-5일만에 단기간에 형성되었으므로 2파와 3파는 다소 시간을 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적어도 2-3주이상은 추가로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어 구정전후로 급등락을 보이며 조정파를 형성한 후 2월중순부터 본격적인 상승이 예상된다. 당분간 구정을 전후로 급등락이 나타날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의 조정은 상승3파의 4파가 아닌 3-3-4파이므로 그렇게 장기간의 조정은 아닐 것이다. 짧으면 2-3주 길면 5-6주정도의 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한다
참조 : 상승 3파의 파동 실적에 따른 향후 추정치 (필자의 2003년 추정치와 거의 비슷한 수치임) ( )는 추정치임
대세상승기
1파 277.4 P - 1052.60 P 2파 1052,69 P - 463.50 P 3파 463.50 P - (1733.09)
3-1 463.54 - 943.54 3-2 943.54 - 512.30 3-3 512.30 - (1710.99) 3-3-1 512.30 - 939.52 3-3-2 939.52 - 713.99 3-3-3 713.99 - 1426.21 3-3-4 1426.21 - (1283.77) 3-3-5 (1283.77) - (1710.99) 3-4 (1710.99 - 1253.09) 3-5 (1253.09 - 1733.09)
4파 (1733.09 P - 1428.31 P) 5파 (1428.31 P - 2203.51 P)
( 단. 엘리어트파동에 의한 장기 예측치임. 실적치의 변동에 따라 추정수치는 변화됨)
현재의 위치가 상승3파 상승중이므로 단기적으로는 구정전후로 조정양상이 나타나며 급등락이 나타나더라도 불안할 이유가 없으며 오히려 주도주 위주로 매수할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아무도 상투를 알 수 없다.
그러나 6개월 정도를 단기적으로 보면 당분간은 상투가 없음을 인식하여야 합니다. 그러므로 급락이 나타나는 시점에서는 주도주위주의 분할매수가 필요합니다. 아직도 매월 주식을 나누어서 매수하는 적립식증권저축은 중요한 투자방법입니다.
|
-----------
주가조정 시 해야할 일 |
'06.01.24 09:16 조회: 17142 스크랩: 13 |
|
주식의 가격은 아무도 모른다고 하지만 이것은 너무했다라는 생각마저 든다. 그러나 이 역시 현실이다. 그러나 이번의 조정은 상승3파의 4파가 아닌 3-3-4파이므로 그렇게 장기간의 조정은 아닐 것이다. 짧으면 2-3주 길면 5-6주정도의 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한다.
이제 다시 싸게 살수 있는 기회가 생겼으나 솔직히 과연 상주투자자들에게 이 시점에서 싸게 살 수 있는 투자할 돈이 있을 까
아마도 모두 물려있어서 살 돈이 없을 것이다.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최고치에서 이미 투자할 돈을 모두 사용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운이 좋게 전날 팔아놓은 투자자이외에는 아마도 구경만 할 것이다.
그러나 지나치게 하락하였기에 그동안 들어오지 않았던 투자자들이 다시 시장을 찾을 것이고 그들만 싸게 살 수 있는 권리(?)가 있다. 이렇게 일년에 두세번 나타나는 시기에 들어오는 프로들이 있다는 점이다.
그러면 이미 투자할 돈이 없는 투자자는 어떻게 할 것인가
이때야말로 좋은 기회이다. 바로 종목을 바꾸는 것이다. 할 일이 없는 것같지만 아니다.
이때야 말로 좋은 종목으로 갈아타야한다.
삼성전자를 이 기회에 사야한다. 더 하락한 종목을 갖고 있더라도 이 기회에 손절매해서라도 삼성전자를 살 수 있어야 한다.
더 하락한 다른 종목을 팔아서 주도업종의 지동차주의 대표격인 현대차를 사야하고, 더 하락한 다른 잡주를 팔아서 주도주인 국민은행주를 사야한다. 종목을 갈아탈 좋은 기회인 것이다.
금리이 인상이 이제 시작되었고 추가적으로 소폭씩 되면서 주가는 다시 상승을 할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주도주들을 앞세워 갈 것이다. 주가의 바닥이 어쩌구가 아니라 언제나 살수 있어야 한다. 이번 조정기간이 좋은 기회이다.
갈아타는 것만이 투자할 돈이 없는 투자자들이 할 일이다.
주도주중 가장 많이 하락한 종목과 이러한 하락중에서도 가장 적게 하락한 종목을 찾아야한다. 반드시 주도주를 찾아야한다.
이러한 기회야말로 잡주를 버리고 주도주를 매수해야한다.
금리가 인상되기 시작하면 주도주인 수출관련주들을 중심으로 대표적인 대형주들을 매수해야한다고 계속 말씀드린 바가 있다. 이들이 주가 상승기를 이용하여 증자가 일어나기 전까지는 계속 매수해도 좋다고 본다.
급락은 주식시장에서는 언제나 기회이다.
급락이야말로 장을 급등으로 만드는 일을 한다. 급락없는 급등은 없다. 급락이 언제나 반등의 기회를 주었다는 점을 늘 강조한다. 모든 챠트를 보면 언제나 급락후에 급등이 있음을 중명해준다.
한달걸려도 이만큼 하락하기가 어려운 데 얼마나 좋은 기회인가.
단기간에 급락은 언제나 단기간이 급등으로 이어지면 V자형의 그림을 그리는 것이 통례이다. 그러한 양상이 조만간 다시 나타날 것이다.
하락의 이유를 찾을 필요도 없다. 그동안 조정없이 상승한 것이 하락의 가장 큰 원인이다. 또 급락하였기에 또 다시 급등할 조건을 갖추었다고 보면 될 것이다.
-----------
100%이상 상승할 종목 찾기 |
'06.01.25 09:13 조회: 18142 스크랩: 32 |
|
100%이상 상승종목찾기
대부분의 주식 투자자들은 자기가 투자자이지 투기꾼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자기는 5-10%만 오르면 판다고 합니다. 목표를 크게 잡으면 투기꾼이라고 할까봐 걱정하는 것같습니다. 그리고 적은 수익율을 여러 번 거듭하여 얻으면 그것이 큰 수익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높은 수익율을 올리면 자기 스스로도 투기꾼인 것으로 생각하는 것같습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수익율을 적게 잡는 것이 투자라고 생각하고 100%이상의 높은 상승하기를 기다리면 투기라고 생각하는 경우를 많이 보았습니다.
그러나 필자는 반대의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 자기 스스로 잦은 매매를 하면서 투기를 일쌈으면서 자기 스스로는 투자자라고 위안을 하고 있습니다. 자기는 높은 수익을 찾는 투기꾼이 아니라고 생각한다는 점입니다.
그러나 그러한 투자관행이 스스로를 투기꾼으로 인도하고 있다는 점을 모르는 것 같습니다.
적은 수익을 올리기 위해서 종목을 찾다보면 증권시장에서 상주하는 증권회사직원들과 같은 종목을 찾게됩니다. 그들은 잦은 매매를 하여서 실적도 올리고 고객들의 돈도 불려주어야 하기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잔파도를 보면서 그 잔파도를 타려고 합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팔아야할 종목이지만 기술적인 반등이 나타나기 때문에 그들에게는 매수종목이 될 수 있습니다. 반대로 기술적인 하락이기 때문에 사야하지만 그들은 매도종목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런 점에서 증권회사 직원이나 상주 투자자들이 선택하는 종목은 장기투자를 하는 투자자들과는 정반대가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증권회사 직원들과는 정반대로 해야한다는 투자격언이 나오기도 한 것입니다. 그것은 투자방식이 틀리기 때문입니다. 단타를 하는 투자자들에게는 장기투자하는 투자자와는 정반대의 관점이 나올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런 점에서 100%이상의 상승할 만한 종목을 찾으라는 것입니다.
그 이유는 100% 상승할 종목을 찾는것과 5-10%정도의 상승을 하는 종목을 찾는것은 전자를 택하느냐 후자를 택하느냐에 따라 종목을 고르는 보는 눈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공기소총을 쏠 때 10점만점을 노리다 보면 10점도 맞출수 있고 9점도 맞출 수 있다는 것과는 다릅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종목을 고르는 것과 단기적인 관점에서 종목을 고르는 것과는 전혀 다르기 때문입니다.
100% 오르는 종목을 찾기 위해서는 많은 정보를 필요로 합니다. 그러나 적은 수익율을 목적으로 사는 경우에는 그럴 필요가 없습니다. 단지 그날 그날의 호악재만 확인하면 됩니다.
그러나 개인 투자자들은 정보는 장기투자를 목적으로 수집하면서 매매는 단기적인 매매를 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실패할 확률이높아지는 것입니다.
또한 필요없는 노력을 하고 있다고 보는 것입니다. 주 1회 이상 매매를 한다면 굳이 장기적인 투자를 위한 노력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100%이상 오르는 종목을 찾기 위해서는 여러가지를 고려하여야 합니다.
우리가 주식투자를 할 때에 소개받는 방법이 있습니다.
투자종목을 선정하는 방법으로
1) 전세계의 경제와 국내 경제를 바라보는 눈 즉, 매크로적인 눈을 키워야 한다 는 것입니다.
2) 성장업종을 찾고
3) 성장업종중에서 성장기업을 찾아야한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투자는 중장기적인 투자를 목적으로 할 때 필요한 정보수집입니다.
즉 100%이상 오르는 종목을 찾는 방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100%이상 오르는 종목을 찾으려면 장기적인 눈으로 보아야하기 때문에 그러한 종목만을 보게됨으로 우량주위주의 대량거래가 수반되는 종목이 눈에 보일 것입니다. 경기패턴에서 주도주로 부각되는 주도주를 찾게될 것입니다. 당연히 장세를 주도하는 종목을 찾아내는 눈이 발달하게 될 것입니다. 100% 이상 상승하려면기간이 많이 소요됨으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는 눈으로 변화가 될 것입니다.
모든 예에서 보듯이 주식은 한번 움직이면 크게 움직입니다.
연구소회원들에게 100%이상 수익율을 얻은 종목이 있는 가를 질문해 보면 투자종목중 100%이상 상승해서 팔아본 적이 거의 없는 것을 발견하게 됩니다.
수량이 적어 그대로 놔두었기에 우연히 발생하게 되는 경우와 외국에 출장가 팔지못해서 나타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거의 없는 것을 발견합니다.
개인 투자자들은 조금만 오르면 금방 팔아버리기 때문입니다. 이런 점에서 이익을 볼 때는 조금의 이익을 얻는 반면 손해를 볼 때는 비용과 함께 큰 손해를 보는게 개인투주자들이며 이들은 거의 손해를 보게 마련입니다.
한번 100%의 이익을 얻어보기를 바랍니다. 좋은 종목을 한번 잡으면 끈질기게 붙잡는 인내가 필요한 것이 참된 주식투자입니다. 일단 사면 커다란 문제점이 없는 한 계속 보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물론 상승속도가 빨라져서 급하게 올라선 경우인 상투권에서 장기보유하는 것과는 다릅니다.
초기 상승시에는 확신이 없어 조금만 오르면 못 팔아서 안달하는 투자자들이 대부분입니다. 그러나 장기 상승후 상투권에서는 상승하는데 익숙해져 한번 하락쯤은 대수롭게 안느끼는 시점에서 장기보유하는 것이 개인투자자입니다. 확신에 차있는 개인투자자들이 많아지면 그것이 상투권입니다. 그동안의 상승을 통하여 상승기간 내내 상승에 확신을 주면서 상승하였기에 하락에 민감하지 않는것이 바로 그 때입니다. 그래서 개인투자자들에게는 매입 후 외국여행을 다녀오는 것이 더 값싸게 친다는 농담을 하지만 그것이 진담입니다. 매입해놓고 궁금하니까 매일 증권회사 객장에 나가거나 전화로 물어보고 심지어는 직장 컴퓨터로 가격을 조회합니다.
가격이 오르내리니까 자꾸 보게 마련입니다. 직장인들이 본업무는 제쳐놓고 주식에 몰두함으로서 직장에 손해를 끼쳐 사회 문제화 되는 것이 바로 이러한 점에 문제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고 그러한 투자관행으로 수익율이 오르느냐 하면 그렇지 않다는 데 더 큰 문제점이 있는 것입니다.
문제는 진짜로 상승하는 종목은 매집단계에서 수량을 매집하기위해서 흔드는 과정이 나타납니다. 또는 상승시마다 흔들어서 자신없는 물량들을 소화시키며 매집한 세력에게는 확신을 주는 작업을 하게 됩니다. 이러한 과정이 매집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데 이를 확인하는 기술적분석지표로는 OBV가 사용됩니다.
개인들이 확신을 가지고 파는 시점이 바로 이러한 단계입니다. 확신을 가지고 파는 순간 팔자마자 상승하기 시작하고 급등하기 시작합니다. 이상한 일입니다. 아마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이러한 일을 많이 겪었을 것입니다. 왜 참고 참다가 내가 확신하고 팔고나면 오르고 참고 참다가 내가 확신하고 사면 폭락하는 가 참으로 신기한 일입니다. 내마음을 시장이 알고 있는 듯할 정도입니다.
그것은 투자심리가 언제나 같기때문입니다. 개인투자자들이 시장을 보면서 확신을 하게 해주는 것이 시장의 생리입니다. 투자심리로 본다면 불안할 때 사서 확신할 때 팔아야 합니다. 그러나 언제나 확신이 설 때 매매를 함으로서 자신이 의도한 정반대의 일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100%이상 오르는 종목은 적어도 몇단계의 과정을 거쳐서 상승을 보입니다. 첫번째는 매집하는 단계가 필요하고 매집이 마무리되면 상승하는 단계 그리고 상승을 확신시켜주는 단계 그리고매도하는 단계등으로 나타난다. 특히 상승을 확신시켜주는 단계가 나타나면서 상승속도가 빨라지기 시작합니다.
(상승거래량)
특히 100%이상 상승할 종목은 매집하는 단계에서부터 특이한 양상을보여준다. 이러한 종목은 상승하기 전에 매집단계에서 거래량이 늘어나면서 특이한 양상을보여주기 때문에 저자는 이러한 거래량을 상승거래량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거래가 나타나는 종목은 한번 움직이면 적어도 100%에서 400%까지 상승한다. 종목마다 차이가 있으나 심지어는 800%까지도 상승하는 종목들도 있습니다.
최근에는 상한가의 한도가 15%로 늘어나 100% 상승하기에는 그렇게 어렵지않다고 볼 수 있습니다.
상한가 3번이면 이미 50%의 상승을 보여주며 6번의 상한가이면 100%의 상승을 보여준다. 예전에는 상승폭이 적을 때에는 5-6번정도의 상승후 조정을 보이고 다시 상승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최근에는 3번의 상승으로 50% 정도의 상승을 보여주고 조정기간이 길게 나타났다가 다시 급하게 3-4번 상승하여 조정을 받고 하는 양상을보여주는 것이 최근의 양상입니다.
100%이상의 상승종목을 찾으려는 것과 10%이내의 상승종목을 찾는 것은 큰 차이가 나타납니다. 종목을 고르는 눈이 달라진다고 하였습니다 -----현재는 엘리어트 파동상 엘리어트파동 상승3파의 3-3-4파의 b파 형성중이다.
플랫형 조정파 (W자 형성)
이번의 조정파는 대세상승 상승3파의 연장파로서 3-3-4파가 형성되는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앞파동 3-3-2파가 지그재그형으로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어 3-3-4파는 플랫형으로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므로 이번 4파의 조정파는 일단 플랫형의 파동 구성을 보여주는 3개(3-3-5) 의 파동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3-3-2파가 53%의 하락을 보여주었으므로 3-3-4파는 38.2% 하락보다는 적을 것으로 예상되어 추가하락이 나타나면 1285-1300선 범위에서 지지대가 형성될 것으로 예상되었는데(1월20일자 참조) 실제로는 1285.63까지 하락하고 반등을 시도하고 있으며 오늘까지 1353.32까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플랫조정파동중 a파 3개의 파동완성
오늘까지 플랫형 a파의 1, 2, 3파가 형성되어 예상대로 a파의 파동이 1285-1300선을 중심으로 형성되었으며, 장중 기술적인 반등이 나타나며 플랫형의 b파가 형성되어 2일간 추가 반등하며 장중 한때 1352.32까지 1350선을 회복하였다.
플랫조정파동중 b파 형성중
플랫형으로 나타난다고 볼 때에 b파는 강하면 직전고점에 접근하는 1400선까지, 약하면 1350선대 전후까지 반등 후, 재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는데, 그러나 반등하면서 발생되었던 갭을 완벽하게 메우므로서 하락초기 발생된 갭마저 메울 가능성이 있어 1370과 1390선까지 상승하며 갭을 메울 것으로 예상된다.
플랫형 b파도 3개의 파동을 형성예상 - 1400선 접근 가능성 높아져
조정4파의 abc파중 a파가 3개로 형성되어 예상한대로 플랫형을 형성할 것이며, b파가 다시 3개의 파동을 형성할 것이므로 챠트상 왼쪽에 형성된 형태를 동일하게 그려낼 것이므로 b파의 1파가 갭(1370선대)에 접근후 하락하여 2파가 형성되고 재차 상승하여 1370-1390선의 갭을 메울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므로 b파가 1400선까지 접근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플랫조정 파동중 c파
플랫형 조정의 경우 c파는 5개의 파동을 형성하나 장중조정으로 나타나 2-3개의 일봉으로 5개의 파동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c파의 크기는 a파동보다 조정폭이 적은 것이 일반적이나 a파동보다 큰 경우도 나타나 1285선을 하회할 경우도 나타난다. 후자의 경우에는 하락폭이 큰 만큼 반등강도가 크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영어로 W자형에서 오른 쪽 바닥이 더 낮게 형성되는 경우인데 이를 걱정할 이유는 없다고 본다. 이런 경우 언론에서는 다시 한번 무슨 큰일 난 것처럼 떠들수 있으나 오히려 매수기회이다.
플랫형의 c파가 나타나며 다시 하락하여 1300선 근방까지 접근후 3-3-5파를 형성하며 3-3-3파가 연장된 것으로 보아 3-3-1파의 상승폭 만큼 반등이 예상되므로 1580-1710선까지 반등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간은 이미 3-3-4파의 a파의 1,2,3파가 5일만에 단기간에 형성되었으므로 b파의 1, 2, 3파도 동일하게 5일정도 걸릴 것이며 c파는 증시의 형편에 따라 짧은 파동으로 5개를 형성하면 2-3일만에 끝나고 3-3-5파의 반등을 시도할 수 있으나 5개의 파동이 크게 나타나면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적어도 2-3주이상은 추가로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어 당초(1월20일참조)예상대로 구정전후로 급등락을 보이며 조정파를 형성한 후 2월중순부터 본격적인 상승이 예상된다. 그런 점에서 당분간 구정을 전후로 여전히 급등락이 나타날 것으로 추정된다.
에너지 비축기간
결론적으로 단기적으로 볼 것이 아니라 장기적인 면에서는 이러한 급등락은 일시적인 것으로 대세상승세는 이어갈 것이다. 현재 몇년째 상승중인데 이러한 하락은 오히려 에너지를 비축시켜주는 역할을 하여 추가상승폭을 높여주는 것이다. 가파른 기울기를 조정하는 과정이므로 조정을 많이 받으면 받을 수록 그 상승폭은 더 커지는 것이다.
(2006년1월20일자 추정치)
참조 : 상승 3파의 파동 실적에 따른 향후 추정치 (필자의 2003년 추정치와 거의 비슷한 수치임) ( )는 추정치임
대세상승기
1파 277.4 P - 1052.60 P 2파 1052,69 P - 463.50 P 3파 463.50 P - (1733.09)
3-1 463.54 - 943.54 3-2 943.54 - 512.30 3-3 512.30 - (1710.99) 3-3-1 512.30 - 939.52 3-3-2 939.52 - 713.99 3-3-3 713.99 - 1426.21 3-3-4 1426.21 - (1283.77) 3-3-5 (1283.77) - (1710.99)
3-4 (1710.99 - 1253.09) 3-5 (1253.09 - 1733.09) |
|
4파 (1733.09 P - 1428.31 P)
5파 (1428.31 P - 2203.51 P)
( 단. 엘리어트파동에 의한 장기 예측치임. 실적치의 변동에 따라 추정수치는 변화됨)
------
이번 조정파는 어떤 형일가?(플랫형or불규칙형)내기할까요 |
'06.01.31 10:09 조회: 14813 스크랩: 17 |
|
이번의 주가급락은 대세 하락이 끝나는 파동은 아니다. 우리 경제의 구조상 아직도 본격적인 경기상승세로 돌아서지 않았다.
이제 경기가 반등세로 돌아서려고 하고 있는 중이고 아직도 경기가 본격적인 상승세로 돌아섰다고 보기에 어려운 상황이다. 이러한 경기 바닥권에서 주가의 상승은 시작되고 역사적인 고점을 돌파하는 것은 분명하나, 경기과열에 따른
주가가 상투라고 보기에는 너무나도 현격한 차이가 있다. 이제 역사적인 고점을 돌파한 후 300포인트 정도 올랐는데 이것으로 상승이 마무리되었다면 말도 안되는 분석이다.
이선에서 적어도 1파상승의 2배이상 정도는 올라야 과열이라는 이야기가 나올 것이다. 이선은 적어도 1차적으로 1700선이며 2차적으로 2천선을 넘어야 한다. 아마 2천선에 접근하면 상승속도가 엄청나게 빠르게 올라갈 것이다. 이것이 상투를 치기전에 나타나는 증시의 현상이다. 최근에 상승속도가 빨라지면서 상승기울기가 가파르자 핑게낌에 조정을 받은 형국이다.
아직도 속도가 빨라지기에는 시간이 많이 남아있다. 적어도 1-2년은 더 있어야 상투를 논할만 할 것이다. 아직은 상승중 조정을 많이 받으면 받을 수록 상승폭은 넓혀지는 그러한 구간이다. 아직도 상승하다 조정받을 때는 매수기회라고 보면된다. 엘리어트파동은 상승5파와 하락3파로 구성되어 있고 현재는 상승중에 있으며, 1파 형성후 상승3파가 진행중이므로 대세상승이 꺾였다고 보기에는 아직 이르다.
그저 급락만 나타나면 대세상승이 꺾였음을 다루는 분석가들이 있으나 이는 너무나 주식시장을 단순하게 분석하는 것같다. 그동안의 상승으로 보면 무시할 만한 하락임에도 마치 증시가 끝난 것처럼 다루는 것은 조금 지나친 평가라고 생각한다.
주가는 한번 대세상승이 시작되면 전쟁과 같은 특별한 악재가 없는 한 장기간 상승세가 이어지는 것이 통례이고 증시가 이를 중명하고 있다.
이번의 급락이 상승중의 조정파이고 큰 파동의 조정파라기 보다는 작은 파동의 조정파이므로 그렇게 두려워할 일이 아니다.
조정파는 4가지
이번의 파동은 현재 형성된 파동을 볼 때에 어떤 파동을 형성할 것인가 조정파는 a-b-c 파동으로 연결되는 3파의 패턴은 크게 지그재그형, 플랫형, 불규칙 조정형, 삼각형 등 네가지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1차적으로 조정파는 3가지로 좁혀졌고
이번의 조정파는 이미 a파에서 분명하게 볼 수 있듯이 3개의 파동을 형성하였다. 그러면 나타날 수 있는 파동은 플랫형과 불규칙조정형과 삼각형 형이다. 특히 삼각형형은 2파에는 안나타나고 4파에만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그런 점에서 4파에서는 늘 삼각형형이 나타날 것이라는 가능성은 열어두어야 한다.(삼각형형의 특징 참조자료 참고)
현재의 발생가능한 파동은 플랫형과 불규칙파동뿐
그리고 a파이후에 이미 b파가 나타나 현재 3개의 파동을 형성하여서 b파의 1,2,3파가 형성되었는데, 이미 b파의 반등이 a파의 0.618배를 초과하여 삼각형 형이 나타나기에는 부적합하여 이미 나타날 수가 없다고 볼 수 있어, 이제 나타날 수 있는 파동은 플랫형과 불규칙파동만이 남아있다.
현재의 상황으로 보아 b파의 3파가 한번 정도 더 상승후 조정받을 가능성이 높은데 직전고점인 1426.21선을 돌파하고 c파를 형성할 지 아니면 직전고점인 1426.21선아래에서 상승을 멈추고 c파의 조정파를 형성후 상승할 지만 남아있다. 중요한 상황이다.
플랫형이냐 불규칙형이냐
만약 b파가 직전고점인 1426.21선을 돌파하지못하고 조정을 받으며 c파를 형성 하면 추가적인 조정이 짧고 적은 폭에서 끝나고 상승할 것이다.
그러나 만약 b파가 직전고점인 1426.21선을 돌파하고 조정을 받으면 c파가 길어 지면서 불규칙파동의 양상을 보여줄 것으로 예상된다.
엘리어트 파동을 조금이라도 아는 투자자라면 이번의 b파가 직전고점을 돌파하 기보다는 직전고점아래에서 c파를 형성하기를 고대할 것이다. 필자 역시 이번 주에는 직전고점돌파를 기대하기보다는 직점고점에서 조정을 받 기를 고대할 것이다.
이러한 예가 예전에 있었기에 이를 첨부하려고 한다.
(하단 종합주가지수 향방 첨부자료 참조 : 1997.1-1997.5월 자료)

화요일과 수요일장에 대한 기대는 ???
지난 주말 미국 증시를 비롯하여 전세계증시가 상승세를 보여 오늘 미국의 월요 일 장세가 크게 폭락하지 않는 한 우리 증시도 상승을 할 것이고 화요일과 수요일 에는 1400선을 돌파하고 추가상승여부를 남겨놓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보면 조정을 많이 받을 수록 더 큰 그림을 그릴 수 있기때문에 직전고점을 돌파한 후 크게 조정을 받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면서도 또 다른 큰폭 의 하락(실제로는 별 것아닌 하락일것이지만)이 나타나면 개미들만 또 손해보는 상황이 나타날까봐 걱정이 된다.
그렇다면 1426.21선을 돌파하기보다는 직전고점아래인 1380-1425선에서 조정을 받는 것이 더 좋을 것으로 기대한다.
플랫형을 형성할 것인지 아니면 불규칙형을 형성할 것인지 여러분들도 한번 기대 해보세요! 점심내기라도 해보세요
이러한 파동을 예상하면서 증시를 바라본다면 얼마나 재미있는 흥미감이 있는 증 시가 될 것인가!!! 여러분들도 이러한 파동에 대하여 어느쪽에 걸 것인가 내기한번 해보면 좋겠다.
필자의 기대
b파가 직전고점인 1426.21선을 상향 돌파 하지않기를 기대하면서, 그리고 앞으로 의 큰폭 상승을 위해 당분간 추가적인 상승보다는 1380-1420선에서 횡보하는 양 상을 예상보다 길게 가진 후에 상승하면 좋겠다는 바람을 가져본다. |
c파가 5개의 파동을 그리되 횡보를 하면서 시간을 두고 형성되면 좋겠다.
그래야만 직점고점 돌파후 상승폭이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PS: 꼭 1997년도 종합주가지수챠트를 확인해 보세요
참조 (조정패턴 4가지형)
a-b-c 파동으로 연결되는 하락3파의 패턴은 크게 지그재그형, 플랫형, 불규칙 조정형, 삼각형 등 네가지 종류로 구분된다.
① 지그재그형은 5-3-5의 작은 파동을 갖는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서 조정파동인 b파동은 a파동의 시점, 즉 5번 파동의 고점보다 낮아 a파동이 61.8%정도 상승한다. c파동의 저점은 a파동의 저점보다 낮게 형성되며 길이는 a파동과 비슷한 것이 특징이다.
② 플랫형은 a-b-c 세 개의 파동이 하락하기 보다는 오히려 보합의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로서 세 개의 파동이 각각 3-3-5의 작은 파동으로 세분된다. 따라서 b, c파동의 길이가 모두 a파동의 길이와 비슷하나 c 파동은 a 파동보다 다소 낮을 수 있다.
③ 불규칙 조정형은 플랫형이 변형된 형태로서 b, c 파동의 길이가 모두 a파동보다 길어 b 파동은 a파동의 1.328배 혹은1.236배, c 파동은 a 파동의 1.618배로 결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④ 삼각형형은 각각 세 개의 작은 파동으로 구성된 파동이 모두 다섯 개 모인 형태로 각각의 파동들은 서로 61.8%만큼 조정되는 형태로 나타난다